G Gallery | Maryanto in Narratives Underneath: Shifting Landscapes and Memory

12 March - 12 April 2025

Maryanto (b. 1977) is an Indonesian artist who narrates the history of violence inflicted upon nature within socio-political structures through his landscapes, rendered in sharp, intricate strokes against a black background. Rather than depicting idyllic natural beauty, he captures the traces of places that have been destroyed and deliberately forgotten. As the landscapes buried beneath the blackened surface are gradually revealed by the grassland of densely packed, thin lines, we are confronted with stories that have disappeared yet refuse to be erased.

From colonial history to the present day, nature's story of degradation and destruction is a recurring narrative that continues to divide the land, bury oceans, and extinguish beings under a capitalist model of development. Through his work, Maryanto resurrects these lost landscapes. The nature that once thrived, now vanishing under the weight of extraction and devastation, lingers as a dark, unrecognizable mass—wounds and memories dismissed as unreal simply because they are unnoticed. Maryanto scrapes away this darkness with sharp tools to reveal once-obscured forests, trees, and blades of grass, much like how the world awakens as the shadows of dawn recede.

The perception of nature as a mere backdrop has long justified scenes of destruction as inevitable consequences of economic growth, allowing disappearance to be ignored. Maryanto fractures this indifference. He grasps at fading traces, exposes wounds that have remained unseen, and compels us to confront what we have overlooked. In Humming, All the Way to Rhino (2025), he captures the highlands of Pangrango, the former habitat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relentlessly poached Javan rhinoceros, where only faint traces of their history remain. In The Shadow Behind Roots (2025), he reveals the shattered ecosystem of mangroves, exploited by the surrounding shrimp farms that connect their long waste pipes to the sea. In Breathe, Banyan Tree (2025), a massive banyan tree stands with its sprawling roots and towering trunk, echoing the legend of a sacred being that once healed a plague-stricken village with the water from Tamblingan Lake (Tamba, meaning medicine; Elingan, meaning memory or spiritual ability). From Mount Merapi, revered in Javanese mythology, comes the ancient warning: Ojo Adigang Adigung Adiguna—one must take only as much from nature as is truly needed. Yet, the consequences of ignoring this wisdom are clear to see: vanished forests, murky rivers, and a lost history barely clinging to existence.

Maryanto’s landscapes summon the voices of both the lost and the barely surviving, forcing us to reckon with truths long disregarded. We have witnessed the collapse of reason and order from many angles. How much have we erased, and how much have we chosen to forget?

 

인도네시아 작가 마리안토(Maryanto, b.1977)는 검은 바탕에 날카로운 획으로 그려진 풍경으로 사회·정치적 구조 안에서 자행된 자연을 향한 폭력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풍경이 아닌, 파괴되고 잊힌 장소들의 흔적을 포착한다. 검게 뒤덮인 대지 위에 초원을 이루는 가느다란 풀잎처럼 빽빽한 날카로운 선들로 그 표면 아래 묻혀 있던 풍경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낼 때, 사라졌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은 이야기들과 마주하게 된다.

식민 역사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훼손과 파괴가 반복되는 자연의 이야기는, 자본주의적 개발 모델의 지속하에 여전히 땅을 쪼개고, 바다를 메우며, 존재의 소멸로 이어진다. 마리안토는 개발과 환경 훼손 속에서 지워진 풍경을 다시 불러낸다. 착취와 파괴로 인해 자취를 잃어가는 자연, 그리고 우리 모두가 겪었지만 보이지 않기에 사실이 아니라 치부하고 외면한 상처와 기억이 검게 뒤덮인 덩어리로 남아 있다. 날카로운 도구로 걷어낸 검댕에서 숲, 나무, 풀잎이 결을 드러내고, 새벽녘의 어둠이 걷히며 모습을 밝히는 순간처럼 잃었던 것들이 되살아난다.

자연을 단순한 배경으로 여기는 사고방식은 파괴의 장면들을 경제적 성장의 결과로 정당화 해왔다. 그리고 사라지는 것들을 외면했다. 마리안토는 이러한 무관심에 균열을 낸다. 소멸의 흔적을 붙잡고, 보이지 않는 상처를 끄집어내어, 지나쳐 온 것들을 다시 바라보게 만든다. 그의 풍경에는 계속해서 밀렵당하는 멸종 위기종인 자바코뿔소의 사라진 자취만 겨우 찾을 수 있는 팡랑고산(Pangrango)의 고원이(Humming, All the way to Rhino, 2025), 새우양식장을 운영하려 바다로부터 긴 파이프를 연결해 무너져버린 맹그로브의 생태가 있다.(The Shadow behind Roots, 2025) 그리고 거대한 줄기와 뿌리를 늘어트린 반얀나무가 탐블리앙호수(Tamblingan Lake; Tamba, 약; Elingan, 기억, 영적 능력)에서 물을 떠 와 전염병이 퍼진 마을의 사람들을 치유했다는 전설에 등장하는 신성하고 강력한 존재처럼 웅장하게 서 있다(Breathe, Banyan tree, 2025). 자바 신화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는 메라피산(Mount Merapi)에서 전해지는 인간이 필요한 만큼만 자연을 이용해야 한다(Ojo Adigang Adigung Adiguna, 2021)’는 전설이 주는 경고를 무시한 댓가로 사라진 숲, 흐려진 강, 그리고 잃어버린 역사를 겨우 붙잡는다.

마리안토가 그려내는 풍경은 사라진 존재와 간신히 버텨내고 있는 존재의 이야기를 불러내어 간과해 온 진실과 대면하게 만든다. 이성과 상식이 붕괴된 상태를 여러 방면에서 목도해왔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부분을 지우고, 얼마나 많은 기억을 망각하며 살아가고 있는가?